미래의 지구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어떻게 변했는지 살펴보고

안소민 2016. 12. 16. 17:19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어떻게 변했는지 살펴보고

, 이와 같은 변화가 조직
의 사회 내 역할 증대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본다.
두 번째 조직 내 요인으로 조직 내 전문성 향상을 들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마지막 조직 내 요인인 조직 내외 정보교류 증가는 조직의 불확실한 환경에
대한 적응과 조직이 생존하기 위하여 학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전문성향상 및 조직몰입 증가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다양한 조직내부 교육, 전문가 풀의 사용, 분쟁예방교육, 설문조사를 통한 조
직 내외 부 교류의 증가, 정보화를 통한 환경분쟁의 접근성 증가 등을 다양
한 자료를 통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조직의 학습이 사회 내의 환경분쟁의 해
결에 있어서 조직의 역할을 증대시키는데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본다.
조정위는 갈등과정에서 갈등이 표면화되어 첨예해진 양상인 ‘환경분쟁’
단계에서 갈등의 해결이 이루어지는 ‘갈등당사자 승복’단계 사이에 조정
(調整)을 함으로써 갈등과정에 참여한다. 본 연구의 분석틀인 <그림2-2>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갈등과정을 4단계로 나누어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앞에서 논의한 Pondy(1967)의 갈등과정을 본 연구에 맞게 재정리한 것이다.
분석틀에서 보여지는 갈등의 첫 번째 단계인 ‘잠재적 갈등’의 경우는 본
래 Pondy의 과정과 일치하며, 갈등이 표면화된 ‘환경분쟁’ 단계는 ‘느껴
지는 갈등’과 ‘인지된 갈등’, 그리고 ‘명백한 갈등’의 개념을 포함하는
단계이다. 왜냐하면 조정위에 조정신청이 들어오는 환경분쟁의 경우 분쟁의
해결이 필요한 매우 명백하게 드러나는 갈등의 양상을 띄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분석틀에서의 ‘환경분쟁’단계는 갈등을 느끼고 인지하는 단
계를 거침으로써 분쟁이 첨예하게 나타나고 있는 단계를 의미한다. 그 다음
단계인 ‘갈등당사자의 승복’의 경우는 Pondy가 설명한 바와 같이 명백하
게 나타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갈등해결의 매커니즘, 즉 조정위
의 조정을 통하여 당사자들간의 합의가 이루어지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