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과연 그곳은

깊은 표면

안소민 2017. 12. 27. 14:13

깊은 표면(Deep Surfaces)
모더니즘 건축은 공간과 표면 사이의 긴장감을 나타내기 위해, 깊은 공간과 얇
은 표면으로 대조를 강조한다 그래서 표면은 투명성을 지닌 얇은 유리 외피가 건
축 표면의 주를 이루었다 한편,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은 형태 자체가 파편적이어서
표면은 무게감과 깊이감을 상실 한다 하지만, 지형적 건축은 깊은 표면으로 공간
과 표면의 분리를 지양하고 통합시킨다 깊이를 갖는 표면을 통해 표면자체에 공
간감이 표현된다 2차원 평면으로 보이던 표면이 3차원 공간처럼 인식 될 수 있는것이다
이러한 성격은 깊은 표면이 시간성과 관련이 있음을 말해준다 사실, 건축은 고
정, 불변, 정적인 속성을 내포하고 있어 이와 반대 성향의 시간성을 접목하기란 쉽
지 않다 하지만, 컴퓨터 기술은 시간과 건축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그 결
과 깊은 표면과 같은 복잡한 표면들은 실현 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