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지구

첫째, 지속적이고 빠른 경제 성장을 유지하는 것과 원유 성장 동력

안소민 2016. 10. 31. 14:35

첫째, 지속적이고 빠른 경제 성장을 유지하는 것과 원유 성장 동력

이 약화
된 것과의 모순이다.43) GDP를 본다면 1인당 GDP가 5000달러에서 10,000
여 달러로 훌쩍 뛰어 넘어 지역경제의 지속적이고 빠른 성장속도가 필요한데
몇 년 동안 저장성의 GDP의 성장은 오히려 현저히 하락되었다. 더욱 걱정을
자아내는 것은 장기간 지역경제의 성장을 이끌었던 고정자산 투자의 증가폭
이 몇 년래 연속 감소되었다는 것이다. 사실 최근 몇 년 동안 고정자산 투자
의 증가폭이 감소된 것은 저장성 경제 운영 중 하나의 기본추세로서 현재까
지도 투자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자리에 위치해 있으나 투자가 경제 성장에
대한 받침 역할은 계속 약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공업투자의 증가폭은
하락세를 선명하게 보이고 있는데 이는 미래 저장성 경제가 안정적이고 빠른
발전을 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큰 압력을 주고 있다.
두 번째, 발전단계의 전환과 현재 성장구조와의 모순이다. 경제발전이 공
업화로부터 발달경제로 넘어감에 따라 경제구조가 공업주도형으로부터 서비
스 주도형으로, 전통산업으로부터 지식집약형 산업으로, 저부가가치로부터
고부가가치로의 전환은 경제전환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특징이다.
그러나 현재 상황을 살펴보면 첫째, 저장성의 공업은 이전에도 그리고 이후
에도 상당히 긴 시간동안 여전히 지역경제 성장의 주요한 받침이 될 것이며
서비스업 발전이 정체된 문제는 단 시일 내에 해결을 보기 어렵다. 둘째, 전
중국과 비교할 때, 저장성의 저부가가치 고에너지 고배출형 산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에 고부가가치 저에너지 저배출형 산업의 비중은 적어
서 배출을 감소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등 구조 조정의 어려움이 크다. 셋
째, 방직가공업 위주의 저부가가치의 전통산업은 중국내의 급속도로 높아지
는 소비구조 수요를 맞추기 어려우며 전통 우세 상업의 지역경제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