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 교육과정은 학생 중심

의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총 교육
과학기술부 총 임을 표방하고 있다 호 개정에서는 학년군에 따른 교
육과정의 정립에만 신경을 쓴 것 같다 모든 교육과정이 이전의 학교 급별 교
육과정의 이수를 바탕으로 하지만 호 교육과정은 더욱 더 그렇다 즉 년
간의 공통 교육과정을 이수한 중학생이라야 년간의 선택 교육과정의 이수가
가능하도록 편성되어 있는 것이다
전국의 만여 명의 중학생이 호 사회과 교육과정을 받고 있다 이들에게
호 사회과 교육과정을 년에 시행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년 고등학교의 선택 교육과정의 시행을 년으로 연기해야 한다
학년도 중학생부터 호가 시행되므로 고등학생이 되는 년부터 시행
하는 것은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둘째 년과 년에 한시적으로 사회 를 한국사 처럼 반드시 이수할 수
있도록 지정해야 한다 한국사 의 경우 호 교육과정에서 년에 폐지될
과목이었다 그러나 호의 개정에서 일반 과목으로 지정하고 년부터 반
드시 이수하도록 규정하였다 이런 과정을 사회 과목에도 적용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 과목에 거시경제 교육내용 을 포함시켜야 한다 호에 근거한
사회 과목에는 거시경제 교육내용 이 없다 이에 따라 년부터 새롭게 선
보이는 사회 에 거시경제 교육내용 을 추가하자는 것이다 이로서 중학교의
사회 에서 미시경제 를 배우고 고등학교의 사회 에서 거시경제 를 배우게 되
는 것이다 이는 경제 교육내용의 조직 원리에서 계열성과 계속성을 확보하게
됨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요컨대 만여 명의 중학생에게는 학년 거시경제 교육내용 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해결방안은 거시경제 교육내용이 포함된 사회과목을 필수로 이수
할 수 있도록 개정하는 것 이다



WRITTEN BY
안소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