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법론적

지구 오염은.. 2017. 12. 5. 15:35

이는 소쉬르의 ‘차이’를 중심 개념으로 하는 새로운 기호관에서 출발했다고 할 수 있으

 로고스(logos)에 기초한 플라톤의 형이상학에 반대하며 이성, 주체, 합리
성, 진보 등의 개념을 비판하는데, 특히 탈중심, 탈주체, 비이성, 미시적(微視的)
인 것에 주목하면서 동일자(同一者) 철학을 해체하고 ‘차이’의 철학을 정립시킨다.


방법론적으로 볼 때 이 사조는 상당히 포괄적인 이론적 지형을 갖고 있는 인
문ㆍ사회과학의 탐구논리이며 이러한 포괄성은 그 방법론적 다원성에서 비롯된
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구조주의의 논리를 지양하고 넘어서는 데에 다양한 방
법론을 원용하고 있음에 기인하고 있다. 모든 언어와 마찬가지로 ‘후기구조주의
(Poststructuralism)’라는 용어도 복수적이다. 그것은 하나의 고정된 의미를 지
니는 것이 아니라 데리다 Darrida (1973, 1976), 라캉 Lacan (1977), 크리스테바
Kristeva(1981, 1984, 1986), 알튀세 Althusser (1971), 푸코 Foucault (1978,
1979a, 1979b, 1981, 1986) 등의 작업들로부터 발전해온 다양한 이론적 입장들
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용어인 것이다.


WRITTEN BY
안소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