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년도와 학년도의 중학생에게는 학년도에 호의 선택
교
육과정을 이수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학년 거시경제 교육내용이 누락되는 것
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호의 학년 선택 교육과정의 시행을 사회과 교
육과정의 개정을 통해 년간 유보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년과 년에
학년이 되는 중학생에게는 호의 미시경제관련 교육과정 에 계속되는 학
년 거시경제관련 교육과정 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거시경제 교
육내용이 포함된 사회 과목을 필수로 이수할 수 있도록 개정해야 하는 것이
다 학년 거시경제 교육내용 이 포함된 사회 과목의 필수 이수 를 년
과 년에 한해 시행하는 것이다 이를 시행하게 되면 호의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만 여 명의 중학생에게 올바른 경제 교육을 받게
할 수 있고 사회과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중학교 교
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 개척 능력과 세계 시
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개정 교육과정을 진정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 으로 부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효과적
인 학습을 위한 교육과정의 편성이 필요하다
경제 교육과 관련하여 내용 조직의 원리로서의 계열성 계속성 통합성에 근
거하여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호와 호의 경제 교육을 분석하였
다 특히 호 중학교 경제 교육내용의 통합은 진정한 통합성의 원리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단지 학년군 적용에 따른 경제 교육내
용의 임의적인 편입에 불과하였다 경제 교육에 관련하여 교육내용에 대해 계
열성과 계속성 통합성에 관련한 연구는 앞으로도 좀 더 자세하게 연구될 필요
가 있다고 할 것이다
WRITTE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