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발전 이론
경제 성장에 따라서 금융 산업이 발전

한다. 금융 발전 이론의 핵심 내용은
금융 발전과 경제 성장의 관계를 탐구하고 금융 발전이 경제 성장에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 분석한다.
쉼페터(Schumpeter, 1912)는 ≪경제 성장 이론≫을 통하여 금융기관으로
부터 제공되는 서비스가 기술혁신과 경제성장에 필수적임을 주장하였다. 은행
은 단순히 자금의 공급과 수요를 연결해 주는 중개기관이 아니다. 은행은 대
출 심사 기능과 감시 기능을 통해 기술력이 가장 뛰어나거나 기술혁신 가능성
이 가장 높은 기업을 선별하고 선별된 기업에게 자금을 조달해 줌으로써 사회
전반적으로 기술 진보를 이룩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그
는 기술 혁신과 이에 따른 경제 성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기업과 은행을
주요 경제주체로 간주하고 있다.
토빈(Tobin, 1955)은 먼저 화폐 요인을 경제 성장 모형 중에서 도입하였다.
토빈에 따르면 통화량의 증가가 실질이자율을 하락시켜 자본축적을 제고함으
로써 경제성장을 촉진한다고 보았다.
패트릭(Patrick, 1966)은 경제 성장과 금융 발전이 서로 인과관계로 존재한
“수요추종형”과 “공급선도형” 이론을 제시하였다. 패트릭은 ≪개발도상국의 금
융 발전과 경제 성장≫에 통하여 경제 발전의 초기 단계에는 금융 자산의 공
급에 의한 공급선도형 금융구조를 창출하여 실물투자를 촉진시키고, 그 후 지
속적인 경제 성장이 이룩되면 수요추종형 금융구조로 운영될 수 있다는 것이
다.
1970년대 초 매키논(McKinnon, 1973)과 쇼(Shaw, 1973)는 "금융 심화"와
"금융 억제"의 이론을 도입하였다. 개발 도상 국가들이 금융억제정책을 보편
적으로 실행하고 있다는 경험적 사실을 바탕으로, 매키논과 쇼는 금융제도의
미발달 그리고 이로 인한 경제성장 지체의 주된 요인이 바로 금융억제라고 지
적하였다. 그들은 금융부문의 인위적 왜곡을 제거하는 금융자유화가 금융심화
및 신용배분의 효율성 제고를 가져와 투자의 양적 확대와 질적 향상을 초래
한다고 주장하였다(박찬일, 2003).
그린우드(Greenwood, 1990)와 그와노빅(Jovanovic, 1990)은 광의의 금융
구조나 금융 기관의 기능이 경제 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서 내생적 성장모
형과 관련하여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들에 따르면 금융 중개기관이 정



WRITTEN BY
안소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