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그 유형을
나누는 데 한계를 느끼고 기원을 밝히는 데서 현대사전의 분석에만 중점을
두고 한국과 중국의 고어사전에 바탕을 두고 통시적인 조사를 못한 것을
아쉬움으로 생각한다 현대사전에 나타난 韓中同素逆序語의 대응 양상이라
해도 그것이 현재 어느 정도 사용되는지는 가늠하기는 어렵다 말뭉치를 확
인하여 사용빈도를 조사하고 어휘대상도 더 넓히고 성분분석법으로 의미차
이를 밝힐 것을 후일로 기약한다 본문이 韓中同素逆序語意味조사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길 바란다
WRITTEN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