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칭성, 거래 비용 및 제도적 장애요인
등으로 한 나라에서도 자본 이동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김봉한, 2007). 그래서 최근에 지역금융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연구가 활발하다.
박원석(1997)은 두 가지 차원에서 지역 금융을 설명하였다. 첫째, 지역 금
융 시장은 국가 하위의 지역 범위에서, 지역의 이자율이나 자금 수급량과 수
급 관계 등 금융 시장의 균형을 나타내는 지표가 국가 금융 시장의 지표와 차
별적으로 나타나는 금융 시장이다. 둘째, 지역 금융 시장은 국가 금융 시장으
로부터 분리되어 이자율과 자금 수량이 내생적으로 결정되는 메카니즘이 존재
하는 국가하위의 일정 지역부문의 금융시장이다.
최진배(2003)는 지역 금융 시장이 존재한다는 것은 전국적으로 통일된 금
융 시장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고 보고 이는 전국적으로 자금을 원활
하게 흐르지 못하도록 장애가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구재운(2003)은 지역 금융 시장을 시장 참가자들의 활동 범위, 금융 서비
스와 관련된 정보의 수집 범위가 상당 부분 지역 내에 한정되어 있는 시장으
로 정의하였다.
2) 지역 금융과 지역 경제에 대한 논의 구조
지역의 이자율이 중앙의 이자율보다 높고 지역의 금융 수요자들이 금융 제
약에 직면하고 지역의 어음 부도율이 높다는 사실은 지역 금융 시장의 존재하
는 것을 간접적으로 입증할 수 있다. 지역 금융 시장의 존재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전통적인 공급선도 이론과 정보의 비대칭성을 강조하는 두 가지로 구
분할 수 있다.
공급선도이론은 국민 경제의 불균형적 개발 정책을 원용하여 지방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방에 대한 금융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공급해야 한다.
지역 금융의 공급 선도적 역할을 중시하는 이론은 지역 금융의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이론적 기반으로서 여전히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이론은 외환위기
이후 금융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정보의 비대칭성을 강조하는 이론은 금융 기관과 차입자간의 정보 비대칭
성의 존재에서 지역 금융의 의미를 찾는다(남수중, 2008). 지역 금융에 대하
여 신용 중시 견해가 있는데, 이는 금융 거래에 존재하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중시하는 견해이다(Kashyap&Stein, 1994). 자금 공급자인 금융 기관은 대출
WRITTE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