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학습 모델 중 하나이다. 프로젝트기반학습은 학습자
의 관심과 흥미로부
터 가치 있는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실제 생활의 현장에서 학습을 진행하며,
문제해결에 대한 성과물을 내놓는 방식이므로, 동기부여, 자기주도성, 책임감,
협동심, 실제적 맥락성과 구성주의적 지식을 함양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수업
방식이다(강인애, 2011; 김송호, 2005).
프로젝트기반학습을 통하여 경제체험학습 모형 도출을 위한 몇 가지 특성을
정리하면, 프로젝트학습은 학습자의 흥미를 중심으로 일상에서 구성되고 진행
된다는 점, 학습자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하는 학습이라는 점, 생활 속에서 문
제해결의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학습과 실제 생활에 대한 연계와 통합 학습
이 제공된다는 점, 프로젝트를 완수함으로써 해결과 결과에 대한 성과물이 존
재한다는 점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Marquardt, 2004).
마지막으로 액션러닝은 물리학자인 Revans(1982)가 제시한 학습이론으로,
소규모 집단의 실제적 문제해결을 위해 학습자들이 함께 성찰하고 행동을 하며
서로의 경험에서 배우며 결과를 도출하는, 실천과 성찰을 강조하는 학습방법이
다(김윤민, 2012; Penney & Leggett, 2005). 이는 실제적인 문제를 풀기 위
해 소집단을 구성하고, 정해진 시점까지 다양한 경험적 문제해결책을 상호 제
시하는 과정을 통해 성찰적 학습이 가능한 새로운 형식의 교수·학습방식이라
할 수 있다(박수홍, 안영식, 정주영, 2005; Marquartdt, 2004). 이러한 액션러
닝의 특성으로 인해 현재 기업과 비영리기관, 정부기관 및 병원 등에서 액션러
닝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서영태, 봉현철, 2008).
WRITTE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