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하는 사회적 자본은 삶의 필수 요소
라 볼 수 있다. 갈등론적 사회학자인
Bourdieu(1986)는 사회자본을 '지속적 네트워크나 상호 친분이 있는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의 네트워크를 통해 실제적, 잠재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자원의 총
합'이라고 정의하였고, Coleman(1988)은 '복잡한 실생활의 구조 속에서 개인
이나 단체가 특정한 행위를 하게 끔 유도하는 다양하고 상이한 실재'라고 정의
하였으며, Putnam(1993)은 '사회적 참여에 의해 생성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자본으로 사회적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신뢰, 규범, 연결망 같은 사회적 속성'이
라고 정의하였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자본은 사람들간의 협력과 사회적 거래를
촉진시키는 모든 신뢰적 정서, 규범, 관계강도 등의 사회적 자산을 포괄하여
총칭한다(고상민, 황보환, 지용구, 2010; Bowles & Gintis, 2002). 즉, 사회자
본은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사회관계 속에 내재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개인이
나 집단에 특정한 혜택을 주는 무형의 자산이라는 것이다. 일반적인 형태의 눈
에 보이는 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차이점은 일반적인 자본은 유한하며 소비에
의해 소진이 되어 사라지는 반면, 사회적 자본은 관계 속에 존재하며 눈에 보
이지 않고, 교류와 관계 맺기 등의 소비활동을 통해 오히려 자본의 규모가 증
가된다는 점이다
WRITTEN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