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해 중국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가
모두 주목할만한 것은 아니었지만, 도시와 농촌의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간의 매우 큰 차이를 밝힐 수 있었다.
예를 들면, 농촌 거주민들보다 도시 거주민이 고가제품이나
소비재를 구입하기 전에 광고를 더 많이 참조한다거나, 도시
거주민의 외국 제품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거나 하는 것을 들 수 있다(Schmitt 1997).
‘중국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관련 기존연구들은 다음 〈표
2-3〉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Ran Wei (1997)는 IMI(Institute for Marketing
Information) 소비자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중국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였다. 표본의 크기는 2953명이며, 북경,
상해, 광주 지역의 주민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조사에서
사용된 소비자 태도에 대한 설문 항목은 총 30개이며 요인
분석을 통해 유행 추구와 세련미, 계획적이며 일상적,
진취적이며 발전지향적, 현상유지적, 사교적이며 영향력 발휘,
금전 지향적 등 6개의 라이프스타일 지표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요인 추출 결과는 다음의 〈표2-4〉와 같다.
WRITTEN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