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1970년에 태어난 세대(The Lucky Generation)는
청년 시기에 문화 대혁명이 끝나고 대학 입학 시험이
재실시되었으며, 국비 지원으로 대학을 다닐 수 있었고 졸업한
후에 나라가 직장을 찾아주는 경험을 했다. 1970년-1980년
태어난 세대 (The Transform Generation)는 중국 국가 계획
경제가 시장 경제로 바뀌는 시기에 태어났다. 이 세대는 중국
사회의 변화를 가장 많이 경험한 세대이다. 1980년 이후에
태어난 세대 (The Only Child Generation/ The E
Generation)는 중국 개혁 개방 후에 태어나, 상품 문화가
번영하고 인터넷이 발전하며 서양 문화가 중국 사회에
유입되었던 사회 환경에서 자라났다. 1980년 후에 태어난 이
세대를 신세대 소비자라고 부른다. <표2-7>에서는 중국
소비자의 세대 구분의 선행연구를 정리하였다.
80후 세대는 중국에서 바링허우라고 부른다
. 중국에서
덩샤오핑(鄧小平)이 1 가구 1 자녀 정책을 실시한 후인
1980년대에 태어난 세대를 이르는 말이다.
이 단어는 처음에 중국 청년을 묘사하는 문학 작품에서
나타난 뒤, 인터넷을 통해서 사회의 인정을 받았다. 학계에서
80후 세대에 대한 정의는 80년대에 태어난, 19-29세의
군집이라고 한다(丁家永 2007). 이 정의에서는 세대 구분을
출생년도로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여기서 상정하는 인구는
70년대 말에 태어난 사람도 일부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밀한 측정을 위해 80후 세대는 1980-1989년에
태어난 젊은 사람으로 정의한다. 80후 세대는 현재(2012)
20-30세이다.
90후 세대는 80후 세대가 나타난 후에 생긴 개념이다.
80후 세대와 마찬가지로 중국 개혁 개방 후에 태어난
세대이다. 80후 세대가 개혁 개방의 초기에 태어났던
것과는 달리, 90후 세대가 태어났을 때는 중국 개혁 개방의
성과가 나타난 시기이자 중국 사회가 정보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시기였다. 따라서 90후 세대는 새로운 중국
사회를 온전히 경험한 세대라고 할 수 있다. 한 가구 한
자녀 정책 하에, 90후 세대도 대부분 외동딸, 외동아들로
구성되며, 국가의 발전 덕분에 90후 세대는 전 세대
중국인과 차이가 많다. 90후 세대라는 개념은 인터넷이나
잡지를 비롯해 여러 매체에 유행하나, 학계에서는 정확한
정의가 아직 없다. 일반적인 정의는 90년대에 태어난
WRITTE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