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야 한다는 점, ③ 제한적이기 보다는 통합적인 사고가 가능한 학습이 제공되
어야 한다는 점, ④ 과정을 중시하는 구성주의적인 학습환경 등으로 요약해볼
수 있다. 이는 앞서 관련 선행사례들을 종합하여 도출했던 구성주의적 학습 환
경의 특성들과 상당 부분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경제체험교육의 모형화를 위해, 다른 교수·학습모형들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먼저 경제체험교육을 위한 교수 설계를 위해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체험학습과 공통점을 많이 가지고 있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이후로는 PBL)(강인애, 2007), 프로젝트 기반학습(projectbased
learning)(강인애, 2011), 액션러닝(action learning) (Marquardt,
2004) 등의 세 가지 모형을 분석하여 공통점을 정리해 보았다. 이 세 가지 모
형을 선택한 이유는 경제체험교육이 구성주의적 학습 환경을 반영하고 있는 것
과 마찬가지로, 이 세 가지 학습 모형들도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을 구현하는 대
표적인 학습모형으로 언급되고 있기 때문이다(강인애, 2007, 2011; 김송호,
2005).
WRITTEN BY
,